안과 질환에서 사프란(saffron)과 그 성분의 활용 가능성

Sepahi S, Ghorani-Azam A, Hossieni SM, Mohajeri SA, Khodavrdi E. Pharmacological Effects of Saffron and Its Constituents in Ocular Disorders From in Vitro Studies to Clinical Trials; A Systematic Review. Curr Neuropharmacol. 2020 May 6.


일부 약초들은 질병 관리에 유망한 치료 잠재력을 보여주어 왔다. 이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그러한 약초들 중 하나인 사프란(saffron)이 갖는 안과 질환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고자 했다.


데이터베이스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등에서의 체계적 검색을 통해, 관련 연구들을 수집했고, eye disorders, saffron을 key terms으로 사용했다. 포함기준은 엄격하게 정의하지 않았으며, 거의 모든 임상연구와 in vivo 및 in vitro 연구들을 모두 분석에 포함했다. 각 연구에서 보고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정성적 기술을 실시했다.


© iranskids, 출처 Unsplash


검색 및 선별을 통해, 78편의 연구 중 29편의 관련 연구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했다. 이 중 9편은 임상시험이었고, 20편은 세포 및 분자 측면에서 안과 질환에 대한 사프란의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였다.


[실험실 연구]


포함된 연구들에 따르면, 사프란의 주요 성분인 crocin은 망막세포에서 전염증성 반응을 예방하고, 당뇨병 마우스에서 혈당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crocetin의 경우, 망막 변성을 예방했고, 사프란은 망막세포에서 빛으로 유도된 손상으로부터 photoreceptors를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임상연구]


사프란은 또한 노화와 관련된 황반 부종에서 시각 기능을 개선했으며,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었다. Crocin의 경우, 당뇨병성 황반병증(diabetic maculopathy) 환자에서 최대 교정시력(best corrected visual acuity)을 개선하고, 황반두께(central macular thickness)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이 리뷰의 결과, 사프란과 함께 그 주요 성분인 crocin 등은 안과 질환, 특히 안구의 염증 치료에서 잠재적 후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 C/S
  • 010-2999-5597
  • AM 09:00 - PM 06:00
    점심시간 AM 12:00 - PM 01: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 BANK
  • 국민은행814301-04-253626
    예금주 (주)서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