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orasanchi Z, Shafiee M, Kermanshahi F, Khazaei M, Ryzhikov M, Parizadeh MR, Kermanshahi B, Ferns GA, Avan A, Hassanian SM. Crocus sativus a natural food coloring and flavoring has potent anti-tumor properties. Phytomedicine. 2018 Apr 1;43:21-27.
사프란(Crocus sativus L.의 건조시킨 암술머리)은 주로 식용색소 및 향료로 사용되는 매우 가치있는 농산물이다.
사프란의 3가지 주요 이차대사물질에는 crocin, picrocrocin, safranal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사프란의 색깔, 쓴 맛, 그리고 그 맛과 냄새를 각각 담당한다.
전통의학의 한 구성요소인 사프란은 경련, 천식, 간질환, 월경장애, 통증, 그리고 암에서의 병인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초로 사용되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암 치료에서 사프란의 화학예방적 특성에 관한 최근 발표된 데이터를 요약하고자 했다. 이 리뷰는 비-체계적 문헌고찰로 시행되었다.
Scopus, EMBASE, PubMed에서 발표된 영어 논문을 수집했다. 출판일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검색어로는 "Lung", "breast", "skin", "prostate", "leukemia", "cancer", "neoplasm", "tumor", "malignancy", "saffron", "crocus sativus", "crocin", "crocetin", "picrocrocin", "safranal"이 사용되었다.
검색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프란은 폐암, 유방암, 백혈병, 피부암, 전립선암 등 여러 유형의 암에서 항종양 및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 관련 메커니즘으로는 세포자멸(apoptosis)의 유도, 세포주기 진행(cell cycle progression) 정지,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 억제, 일부 phase II detoxifying enzymes에 대한 조절효과, 염증성 분자의 발현 감소 등이 사프란을 통한 항암효과의 잠재적인 메커니즘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Khorasanchi Z, Shafiee M, Kermanshahi F, Khazaei M, Ryzhikov M, Parizadeh MR, Kermanshahi B, Ferns GA, Avan A, Hassanian SM. Crocus sativus a natural food coloring and flavoring has potent anti-tumor properties. Phytomedicine. 2018 Apr 1;43:21-27.
사프란(Crocus sativus L.의 건조시킨 암술머리)은 주로 식용색소 및 향료로 사용되는 매우 가치있는 농산물이다.
사프란의 3가지 주요 이차대사물질에는 crocin, picrocrocin, safranal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사프란의 색깔, 쓴 맛, 그리고 그 맛과 냄새를 각각 담당한다.
전통의학의 한 구성요소인 사프란은 경련, 천식, 간질환, 월경장애, 통증, 그리고 암에서의 병인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초로 사용되고 있다. 이 리뷰에서는 암 치료에서 사프란의 화학예방적 특성에 관한 최근 발표된 데이터를 요약하고자 했다. 이 리뷰는 비-체계적 문헌고찰로 시행되었다.
Scopus, EMBASE, PubMed에서 발표된 영어 논문을 수집했다. 출판일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검색어로는 "Lung", "breast", "skin", "prostate", "leukemia", "cancer", "neoplasm", "tumor", "malignancy", "saffron", "crocus sativus", "crocin", "crocetin", "picrocrocin", "safranal"이 사용되었다.
검색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프란은 폐암, 유방암, 백혈병, 피부암, 전립선암 등 여러 유형의 암에서 항종양 및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 관련 메커니즘으로는 세포자멸(apoptosis)의 유도, 세포주기 진행(cell cycle progression) 정지,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 억제, 일부 phase II detoxifying enzymes에 대한 조절효과, 염증성 분자의 발현 감소 등이 사프란을 통한 항암효과의 잠재적인 메커니즘으로 제시되고 있었다.